반응형
2013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데이터를 사용하였습니다.
자기가 타는 역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까? 에 대해 객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단, 환승객은 집계되지 않으므로 절대적 지표는 되지 못합니다.
굳이 말하자면 각 역별 운송 수입의 지표라고 볼 수 있겠네요. 물론 멀리 간 사람이 더 많이 내니 역시나 절대적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FAQ !!!
Q : 데이터는 어디서 가져왔는지?
A : 국가교통데이터베이스(KTDB) / http://www.ktdb.go.kr/ 부산 지하철 역간 수송 실적 (OD) 데이터를 2차 가공함.
Q : 부산-김해 경전철이 없는데?
A : 대외적으로 수송 실적을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Q : 노선별 승하차량이 합쳐져있는 역도 있는데?
A :
* 다음 역은 노선별로 게이트가 분리되어있지 않아, 노선별 세부 승하차량을 알 수 없습니다.
수영역 (2호선, 3호선 게이트가 공용)
미남역 (3호선, 4호선 게이트가 공용)
Q : 증산역은 미개통인데 왜 이용객이 있는건지?
A : 글쎄요
부산 도시철도는 양이 별로 안 많기 때문에 이미지로 첨부합니다. 표 태그에 관광당하는 것도 하루이틀이지
반응형
'한국 교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 대중교통 요금 인상 (2015년 6월 27일 부터) (0) | 2015.06.06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기념 승차 (0) | 2015.04.23 |
2013년 3분기 수도권 서울 지하철 / 도시철도 / 광역전철 이용객수 순위 (8) | 2014.01.18 |
2012년 수도권 서울 지하철 / 도시철도 / 광역전철 이용객 순위 (5) | 2013.01.25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의 역명 병림픽 (0) | 201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