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 용산 - 의정부 개통
- 1939년 7월 25일, 경춘선 개통과 함께 경원선 접속역 연촌역 개통
- 1963년 3월 5일, 경원선 연촌역이 성북역으로 역명을 개정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계동)
- 1973년 7월 1일, 미아동·번동·수유동·우이동·창동·월계동·쌍문동·상계동·중계동·도봉동·방학동·공릉동·하계동이 성북구에서 도봉구로 분리
(성북역 주소가 서울특별시 도봉구 월계동으로)
-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업으로 성북 - 용산간 수도권 전철 운행 시작
중간 개통역 : 휘경
---------------------------------------------------------------------------
- 1985년 1월 14일, 석계역 개통
역 건설 당시 이 역은 '석관역' 이었으나 역 일부가 월계동에 삐져나가게 되고, 이를 가만히 두고 볼 수 없었던 월계동 쪽에서
"왜 월계동에 걸쳐있는데 석관? 월계로 해라!" 하고 싸움이 남
완전 개싸움이 되는 바람에 답이 없어서 결국 중재책으로 "석"관 + 월"계" 를 따 석계역이 됨
- 1985년 8월 22일, 성북 - 창동간 복선 전철화
중간 개통역 : 월계 , 녹천
그렇게 개싸움을 한지 겨우 7개월 뒤에 결국 월계동에서 "월계" 라는 이름을 가져감
석관동 입장에서는 정말 어처구니가 없지 않을 따름
- 1988년 1월 1일, 도봉동·상계동·하계동·중계동·월계동·공릉동·창동이 도봉구에서 노원구로 분리.
(도봉동과 창동은 1년 뒤 다시 도봉구로 합병)
이것은 25년 뒤의 복선이 됩니다
- 2000년 8월 7일,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 상월곡간 개통
돌곶이역 개통. 돌곶이를 한자로 쓰면 석관. 15년만에 석관과 월계 떡밥이 종료
----------------------------------------------------------------------------
- 2013년 1월
왜 성북동도, 성북구도 아닌 곳에 성북역이 있죠? 역명 변경 ㄱㄱ
→ 성북역이 광운대역이 되었습니다! < NEW!
월계동 좁은 동네 하나가지고 이 정도 소재가 나오는 것도 정말 신기할 따름입니다.
반응형
'한국 교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3분기 수도권 서울 지하철 / 도시철도 / 광역전철 이용객수 순위 (8) | 2014.01.18 |
---|---|
2012년 수도권 서울 지하철 / 도시철도 / 광역전철 이용객 순위 (5) | 2013.01.25 |
전국 도시철도 역 갯수 (행정구역별 / 노선별 / 운영기관별) (7) | 2013.01.08 |
호남선 철도 이설 구간들 (1) | 2012.11.24 |
경부선의 이설 구간들 (1) | 201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