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철 이용객수는 요일별, 계절별, 시간별로 크게 상이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계절별 승하차량 변동폭을 알아보았습니다.
개통한지 1년이 지나지 않은 신규 역들은 모두 제외하였습니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12개월분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역명 |
최다 승하차월 |
최소 승하차월 |
편차 |
||
월간 승하차 |
月 |
월간 승하차 |
月 |
||
백양리 |
28146 |
2월 |
7531 |
9월 |
273.74% |
문학경기장 |
203066 |
10월 |
54340 |
2월 |
273.70% |
인천대입구 |
263699 |
10월 |
78901 |
1월 |
234.22% |
보정 |
493670 |
11월 |
172676 |
6월 |
185.89% |
신창(순천향대) |
200931 |
5월 |
71149 |
2월 |
182.41% |
대공원 |
877366 |
5월 |
318706 |
2월 |
175.29% |
대성리 |
80161 |
5월 |
29455 |
1월 |
172.15% |
계양 |
196528 |
5월 |
74876 |
1월 |
162.47% |
화전 |
134199 |
5월 |
51333 |
2월 |
161.43% |
국제업무지구 |
13383 |
7월 |
5270 |
11월 |
153.95% |
오산대 |
147432 |
5월 |
59172 |
1월 |
149.16% |
여의나루 |
1035837 |
4월 |
453296 |
1월 |
128.51% |
동작 |
143287 |
6월 |
62971 |
2월 |
127.54% |
상천 |
36786 |
5월 |
16499 |
12월 |
122.96% |
굴봉산 |
25668 |
5월 |
11787 |
11월 |
117.77% |
월드컵경기장 |
893079 |
10월 |
413132 |
1월 |
116.17% |
성환 |
407932 |
5월 |
190392 |
1월 |
114.26% |
신원 |
19261 |
5월 |
9071 |
2월 |
112.34% |
소요산 |
389352 |
10월 |
194968 |
2월 |
99.70% |
경원대 |
707790 |
5월 |
355450 |
8월 |
99.13% |
한양대 |
1089157 |
5월 |
566745 |
1월 |
92.18% |
귤현 |
149018 |
1월 |
77559 |
9월 |
92.14% |
어린이대공원 |
1376302 |
5월 |
717421 |
1월 |
91.84% |
종합운동장 |
1487490 |
5월 |
779680 |
1월 |
90.78% |
파주 |
86733 |
5월 |
45471 |
1월 |
90.74% |
운길산 |
99389 |
10월 |
52409 |
2월 |
89.64% |
팔당 |
71777 |
5월 |
38005 |
1월 |
88.86% |
용문 |
250960 |
5월 |
134270 |
2월 |
86.91% |
원덕 |
25606 |
4월 |
13797 |
1월 |
85.59% |
가평 |
250773 |
8월 |
136474 |
3월 |
83.75% |
계절별 이용객 수 변화가 큰 역은 경춘선 백양리역이었습니다. 스키장에 인접한 역인만큼 겨울인 2월의 이용객수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스키 시즌이 아닌 9월달 수요에 비해 무려 273%나 많은 객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백양리역과 거의 비슷한 편차를 가지고 있는 역으로 인천 1호선 문학경기장역이 있습니다. 문학경기장역 역세권에는 주택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실상 문학경기장만으로 영업을 하는 역입니다. 덕분에 야구가 가장 크게 달아오르는 10월에 이용객수가 가장 많았고, 야구 시즌이 아닌 2월에 가장 적었으며 그 차이가 273.7%에 달했습니다.
그 외에, 대학 앞에 위치하고 대학생 통학 수요 외의 수요가 전무한 인천대입구역이나 신창역 등이 뒤를 이었고, 봄철 소풍이나 산행 시즌에 강세를 보이는 대공원, 대성리, 여의나루, 동작, 상천, 굴봉산, 소요산, 어린이대공원, 운길산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보정역이 4위에 랭크되어있는데, 이것은 12월 29일에 분당선이 연장 개업을 하면서 역 위치가 남쪽으로 옮겨갔고, 남쪽에도 신규 역사가 생겨났기 때문에 이로 인한 감소폭이 편차로 나타나게 된 것 같습니다. 그 증거로 가장 많은 달이 11월, 가장 적은 달은 6월로 나왔네요.
계양역의 경우는 미스테리네요. 공항철도 2단계 구간 연장 개업 영향을 받은 것도 아니고, 그 사이에 개업한 역은 공덕역 뿐인데 공덕 하나로 저렇게 컸을 리는 없고 ..
화곡 |
1874987 |
5월 |
1665131 |
9월 |
12.60% |
종로3가 |
2378992 |
7월 |
2113981 |
6월 |
12.54% |
디지털미디어시티 |
1044271 |
11월 |
928243 |
1월 |
12.50% |
고속터미널 |
1181383 |
5월 |
1050131 |
9월 |
12.50% |
독산 |
991178 |
5월 |
881097 |
8월 |
12.49% |
대치 |
788946 |
7월 |
701373 |
1월 |
12.49% |
가산디지털단지 |
1160266 |
11월 |
1031557 |
1월 |
12.48% |
태평 |
872930 |
3월 |
776189 |
9월 |
12.46% |
가락시장 |
512760 |
3월 |
455968 |
9월 |
12.46% |
군자 |
819490 |
3월 |
729028 |
9월 |
12.41% |
수서 |
293502 |
3월 |
261177 |
1월 |
12.38% |
광흥창 |
584810 |
5월 |
520493 |
1월 |
12.36% |
군포 |
460530 |
5월 |
410008 |
1월 |
12.32% |
매봉 |
775110 |
12월 |
690197 |
9월 |
12.30% |
녹번 |
998676 |
5월 |
889728 |
1월 |
12.25% |
대림 |
2067624 |
10월 |
1842443 |
1월 |
12.22% |
고속터미널 |
669082 |
10월 |
596288 |
9월 |
12.21% |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
2189638 |
3월 |
1953407 |
2월 |
12.09% |
신대방삼거리 |
956209 |
3월 |
853225 |
1월 |
12.07% |
구의 |
1571347 |
12월 |
1402495 |
1월 |
12.04% |
수서 |
665747 |
3월 |
594502 |
1월 |
11.98% |
까치산 |
1843609 |
5월 |
1646847 |
9월 |
11.95% |
애오개 |
310632 |
3월 |
277725 |
1월 |
11.85% |
광명 |
88000 |
5월 |
78706 |
2월 |
11.81% |
철산 |
1643606 |
12월 |
1470831 |
1월 |
11.75% |
광명사거리 |
1808484 |
5월 |
1619324 |
8월 |
11.68% |
구로디지털단지 |
3969280 |
5월 |
3559897 |
9월 |
11.50% |
야탑 |
1682756 |
3월 |
1510017 |
9월 |
11.44% |
사가정 |
1104490 |
3월 |
991391 |
1월 |
11.41% |
미아삼거리 |
2398992 |
12월 |
2155063 |
8월 |
11.32% |
노원 |
1683536 |
5월 |
1512448 |
1월 |
11.31% |
강변 |
3525115 |
5월 |
3169054 |
2월 |
11.24% |
굽은다리 |
636274 |
12월 |
572124 |
1월 |
11.21% |
내방 |
897734 |
5월 |
807444 |
9월 |
11.18% |
쌍문 |
2132204 |
5월 |
1917855 |
1월 |
11.18% |
용산 |
2133651 |
12월 |
1919435 |
2월 |
11.16% |
선릉 |
468091 |
7월 |
421198 |
1월 |
11.13% |
봉천 |
1509145 |
3월 |
1358695 |
1월 |
11.07% |
무악재 |
298727 |
5월 |
269573 |
1월 |
10.81% |
노원 |
1519940 |
5월 |
1372481 |
9월 |
10.74% |
금호 |
556897 |
10월 |
502927 |
2월 |
10.73% |
장승배기 |
653032 |
5월 |
589988 |
1월 |
10.69% |
신정네거리 |
764511 |
3월 |
690781 |
2월 |
10.67% |
신림 |
4721605 |
12월 |
4267837 |
1월 |
10.63% |
논현 |
1417821 |
12월 |
1284346 |
9월 |
10.39% |
가락시장 |
473246 |
3월 |
430138 |
8월 |
10.02% |
서울역 |
4298749 |
5월 |
3911202 |
2월 |
9.91% |
남부터미널 |
2309033 |
12월 |
2106059 |
1월 |
9.64% |
공항화물청사 |
90996 |
6월 |
83360 |
1월 |
9.16% |
남구로 |
1056269 |
3월 |
980081 |
1월 |
7.77% |
참고로, 편차가 거의 없는 하위권역 50개의 순위는 위와 같습니다.
서울역, 고속터미널, 용산역, 강변역 등 1년 내내 타지역과의 왕래가 많은 역들이 대개 편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주택가에 위치한 역들로 꾸준한 통근 수요를 보여주는 곳입니다.
'한국 교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20년대 인천 지도와 철도 (4) | 2012.10.03 |
---|---|
1946년의 서울 지도와 지하철 (1) | 2012.10.03 |
수도권 전철 수인선 개통 / 수인선 시간표 (0) | 2012.07.28 |
2012년 상반기 전국 지하철 / 도시철도 / 광역전철 이용객 순위 (0) | 2012.07.28 |
2층 KTX, 효용성이 있는가? (1) | 2012.07.20 |